Severity: Warning
Message: count(): Parameter must be an array or an object that implements Countable
Filename: controllers/News.php
Line Number: 111
Backtrace:
File: /home/newswire/ci_applications/press1_web/controllers/News.php
Line: 111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home/newswire/ci_applications/press1_web/public/index.php
Line: 309
Function: require_once
왼쪽부터 민수청 송수일·박영식 선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재오 이사장, 민수청 전대열·정수일 선생, 민주수호전학련 이신범 전 국회의원이 행사 종료 후 기념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서울--(뉴스와이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는 10월 31일(금) 11시 서울 용산의 민주화운동기념관 사무동 접견실에서 1970년대 초반 민주화운동의 출발점이 된 청년운동 주역인 민주수호청년협의회(민수청) 및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민주수호전학련) 관계자들을 초청해 감사패를 전달했다.
민수청은 1971년부터 결성된 제야 최초의 청년 민주단체로,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수협)로 이어지며 재야 민주화운동의 기틀을 세운 단체다. 당시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청년협의회,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 등 이른바 ‘민주수호 4개 단체’의 결성은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전개되기 시작한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운동 이후 ‘민주화운동’이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활동은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의 결성이 처음이었다”며 “민주수호 4개 단체가 만들어지면서 민주화운동이 제도권 밖에서 체계적으로 이뤄진 최초의 역사적 전환점을 맞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자리에 함께한 분들은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의 첫 주역이자 ‘민주화운동’과 ‘재야운동’이라는 개념을 현실로 만들어낸 분들”이라며 “이제는 많지 않은 생존 당사자들이지만, 그분들의 뜻을 기억하고 민주화운동의 전통을 올바르게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민수협의 정수일, 전대열, 박영석, 송수일 선생과 민주수호전학련의 이신범 선생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민주화운동기념관 전시 공간을 둘러보며 당시의 기억을 나누고 민주주의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민주인사들은 민주화운동 자료의 보존과 기록의 중요성에도 뜻을 모았다.
이신범 전 국회의원은 2016년 사업회에 민주화운동 사료를 기증한 바 있다. 그는 “이미 기증한 자료 외에도 1980년대 미국 체류 시 한국 민주화운동에 관여했던 관련 자료 등을 보관 중인데, 미주운동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만큼 진실된 기록을 남기고 싶다”고 추가 기증 의사를 밝혔다.
2003년과 2009년에 자료를 기증한 바 있는 정수일 선생도 이날 행사에 전민련 신문, 민통련 관련 자료, 사진 등을 직접 가지고 와 기념관에 전달했다. 정 선생은 전시 관람 후 “이곳을 찾으니 그 시절의 뜨거운 열정이 다시 살아나는 것 같다”며 “이 공간이 우리 세대의 투쟁과 희생을 잊지 않게 해주는 살아 있는 역사 교육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던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2001년 국회에서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법률 제19627호, 2023. 8. 16. 일부개정)에 의해 설립됐고, 2007년 4월 11일 행정안전부 산하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사업회는 국가기념일인 6·10 민주항쟁 기념식 개최를 포함해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사업,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 수집 사업, 국내외 민주화운동 및 민주주의 조사 연구 사업, 민주주의교육 사업 등 우리 사회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사업회는 2018년 말 경찰청으로부터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운영권을 이관받아 국가폭력의 현장이었던 대공분실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장인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건립, 올해 6월 정식 개관했다. 아울러 2023년 1월부터 이천 소재의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의 위탁 관리를 맡아 묘역 관리 및 추모제 개최,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