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Warning
Message: count(): Parameter must be an array or an object that implements Countable
Filename: controllers/News.php
Line Number: 111
Backtrace:
File: /home/newswire/ci_applications/press1_web/controllers/News.php
Line: 111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home/newswire/ci_applications/press1_web/public/index.php
Line: 309
Function: require_once
서울--(뉴스와이어)--남양주한양병원(병원장 장진혁)은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과 함께 지역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병동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를 도입했다. 감염병 중환자실과 중증 환자 전담 병동 등 총 120병상으로, 환자 안전성과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대폭 강화하고, 미래형 병원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고령 인구 증가로 중증 환자와 만성질환자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이들의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추적하고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체신호 측정 방식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의료진이 수기로 데이터를 확인하고 차트에 기록하는 형태로, 실시간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남양주한양병원은 씽크를 도입해, 생체신호를 24시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병원은 대학병원급 진료 환경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 거점병원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씽크가 적용된 감염병 중환자실과 중증 환자 전담 병동은 상태 변화가 잦고 집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이 입원해 있는 곳으로, 실시간 생체신호 감지 시스템의 도입 효과가 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와 보호자는 ‘24시간 의료진이 곁에 있는 병동’이라는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의료진 역시 미세한 이상 징후까지 빠르게 포착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 대응이 가능해졌다.
또한 그동안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접근할 때 의료진은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컸다. 하지만 씽크를 통해 주요 생체 신호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고,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면서도 환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남양주한양병원은 이번 씽크 도입을 통해 △환자 편의 증진 △의료진 업무 효율 향상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 △예측 기반 응급 대응 고도화 등 병원의 전반적인 의료 품질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병원은 씽크를 활용한 정밀 진료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응급 대응 체계를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에게 더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하고, 대한민국 스마트병원 구축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장진혁 남양주한양병원 병원장은 “남양주시 최초로 AI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우리 병원의 비전인 ‘대학병원과 비교해도 선택받는 병원, 지역 주민이 자랑스러워하는 병원’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안전과 회복에 최선을 다하는 미래형 병원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병하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부장은 “이번 남양주한양병원의 도입 사례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사례”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선도 의료기관과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확산에 앞장서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미래형 의료 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양주한양병원은 약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으로, 18개 진료과와 7개 전문 센터를 운영하며 지역사회 중증질환 치료와 건강관리 중심 병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건강증진센터, 투석센터, 외래 센터 등 분원 진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감염병 대응과 만성질환 관리에 강점을 바탕으로 수도권 동북부의 거점병원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